MY MENU

학술지

제목

(9권 2호) 태권도 바로지르기는 순차적 움직임인가? 동시적 움직임인가?_류시현·진승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8.07.04
내용

국기원 태권도연구, 2018, 9, 2, 221-236

Taekwondo Journal of Kukkiwon, 2018, Vol. 9, No. 2, 221-236

http://dx.doi.org/10.24881/tjk.2018.9.2.221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앞굽이 몸통바로지르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지분절의 운동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각 상지관절이 순차적으로 전이되는지, 동시적으로 발현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태권도 품새 선수 15(남자 15, 나이: 21.1±2.5, 신장: 170.4±7.8cm, 체중: 65.5±8.6kg)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변인으로는 각 상지관절의 최대 각속도와 그 발현 시점, 상지근육의 초기 근 활성 시점과 최대 근 활성 시점이며,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상지관절의 최대 각속도 발현 시점은 몸통분절, 당기는 팔굽관절, 지르는 어깨관절, 당기는 어깨관절, 지르는 주먹, 지르는 팔굽관절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지근육의 최대 활성시점은 당기는 상지의 광배근, 당기는 상지의 상완이두근, 지르는 상지의 상완삼두근, 지르는 상지의 전면삼각근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르는 어깨관절의 굴곡 최대 각속도와 양 어깨 관절의 최대 각속도 발현 시간차 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468, p<.05). 넷째, 지르는 주먹의 최대 속도는 당기는 상지의 광배근과 지르는 상지의 전면삼각근의 최대 근 활성 시간차와의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736, p<.05). 다섯째, 지르는 어깨관절의 굴곡 최대 각속도는 당기는 상지의 광배근과 지르는 상지의 전면삼각근 최대 근 활성 시간차와의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 =-.740, p<.05). 위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바로지르기는 지르는 상지에서 동시적 발현 현상이 나타났으며, 양 상지분절의 조화로운 움직임으로 효과적인 지르기가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태권도 다양한 손기술 유형에 따라 운동학적 특성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movement of Taekwondo Jireugi occurs kinematic sequence or the simultaneous movement. Fifteen Taekwondo players (age: 21.1±2.5 years; body weight: 65.5±8.6 kg; height: 170.4±7.8 cm) with no history of injurie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analytical variables were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of the upper limbs, the onset time of muscle activation and the time of maximal muscle activ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produced the results with following order: trunk, pulling elbow, pushing shoulder, pulling shoulder, pushing fist, and pushing elbow. Second, the maximal activation muscles were in the order of pulling latissimus dorsi, pulling biceps brachii, pushing triceps brachii, and pushing anterior deltoid.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aximal angular velocity of shoulder and difference of maximal angular velocity of both shoulder (r =-.468, p<.05). Fourth, the maximum velocity of the fis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ime difference of maximal muscle activation between the pulling latissimus dorsi and pushing anterior deltoid (r =-.736, p<.05). Fifth, the maximum angular velocity of the pushing shoulde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ime difference of maximal muscle activation between the pulling latissimus dorsi and pushing anterior deltoid (r =-.740,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movement of both shoulder joints appears to be coordinated around the trunk segment rather than the sequential transition phenomen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sequential transition phenomenon by the various types of hand techniques of Taekwondo.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