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MENU

학술지

제목

(7권 3호) 운동역학적 원리에 근거한 태권도 기술 분류_최치선, 강명수, 양종현, 설성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09.30
첨부파일1
조회수
476
내용

본 연구는 기존 한 분절의 동작에만 초점을 맞추어 분류했던 태권도 기술을, 실제 동작 시 같이 동작하는 다른 분절들과의 상대적인 움직임 측면에서 운동역학적 원리를 근거로 새롭게 분류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전운동과 관련한 국내외 서적 및 논문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회전운동 측면에서 짝힘, 근력에 의한 토크, 분절의 각운동량, 그리고 동작 시 발생하는 작용에 대한 반작용 및 그 반작용에 대항하는 지면반력이 이 연구에 적용되는 핵심 운동역학적 원리였다. 전문가 회의를 통해, ‘1. 거들어 회전시키기, 2. 쪼개어 회전시키기, 3. 모아 회전시키기’의 세가지 방법으로 인체의 축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두 분절을 회전시키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각 회전방법을 대분류로 이름 붙여 태권도 기술을 분류하였더니, ‘1. 거들어 회전시키기 ? 안막기, 지르기, 안치기, 돌려차기 등’, ‘2. 쪼개어 회전시키기 ?바깥막기, 바깥치기, 옆차기 등’, ‘3. 모아 회전시키기 ? 양손 안치기, 앞차기 등’의 세부기술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분류에 속하는 세부기술들은 허공에서 움직이는 기본 동작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으로, 목표를 타격할 때 더 큰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분류의 회전 움직임을 사용할 수도 있었다. 기존 연구가 한분절의 움직임만으로 기술을 분류하였기 때문에 실제 활용이 어려웠던 반면, 본 연구는 동작하는 분절의 반대쪽 분절(팔, 다리, 몸통 등)의 움직임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힘의 생성, 제어, 균형 등을 실제 동작 시 바로 적용 가능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기술 분류를 수련 및 교육상황에 적용한다면, 각 기술이 갖고 있는 신체 사용 방법 및 운동역학적 원리를 수련자로 하여금 쉽게 인지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동작의 효율성 및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classify the Taekwondo skills based on the biomechanical principle in terms of the relative motion of the operating segment with the other segments during actual movement rather than focusing on a single motion.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rotatio al movement from existing domestic (Korean) and international books and paper materi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in biomechanical principles in the rotational movement were the force couple, the torque due to the muscular strength, the angular momentum of the segment, the reaction force during a movement, and the ground reaction force against that reaction. Through the experts meeting, therewas a new categorization of three ways of the rotation of the two segments about the axis of the body were found “1. Assisting Rotation, 2. Splitting Rotation, 3. Adding Rotation”. Each category has the Taekwondo skills details as like ‘1. Assisting Rotation: Anmakki, Jireugi, Anchigi, Dollyeochagi etc., 2. Splitting Rotation: Bakkatmakki, Bakkatchigi, Yeopchagi etc., 3. Adding Rotation: two hands Anchigi, Apchagi etc.’. In order to obtain greater efficiency such as hitting the target, each detailed skill can belong to other categories of the rotational movement. If the actual utilization was difficult as previous studies have treated only movement of just one segment,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because the actual utilization is possible by considering the generation, control of the power, and the balance between the operating segment with the opposite segments (arms, legs, torso, etc.). If one applies the new classifi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during the training and their education, practitioners can recognize the way of utilizing the body and biomechanical principle. Thereby it will get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ovement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논문투고일: 2016. 07. 30.
논문심사일: 2016. 08. 04.
심사완료일: 2016. 09. 09.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